차량을 운전하다 보면 나의 잘못이든 타인의 잘못이든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처음이라면 당황하기 마련인데요. 이런 상황에 침착하고 의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처리상황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해요.
사고 현장 안전화 하기
사고가 나면 너무 놀라고 어쩔줄 모르는 게 당연합니다. 경험이 없어서 그런 것이지요. 우선 사고가 발생한 후 먼저 사고 현장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차량 이동을 중지해야 합니다. 사고 차량을 멈추고, 주차하거나 차선에서 벗어나도록 합니다. 사고차량이나 주변차량이 도로를 방해하는 경우에는 이동시킵니다. 사고 차량의 엔진을 끄고 경고등을 켜서 주변의 차량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가능한 한 도로 밖으로 이동 합니다. 차량이 움직일 수 있는 상태라면 도로 밖의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킵니다. 후속사고를 방지해야 하니까요. 차량을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 도로 가장자리로 최대한 차량을 밀어붙여 다른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사고차량으로부터 약 100M 뒤에 삼각대를 설치하여 후방 차량에게 사고 지점을 경고합니다. 경고등이나 라이트 플레어 같은 추가적인 경고 표시를 사용하여 사고 현장을 더 잘 보이게 해야 합니다.
사고 상황 확인
사고 현장에서 자신과 타인의 부상을 확인 후 필요한 경우 간단한 응급처치를 실시하고, 부상이 심각한 경우 즉시 119에 연락하여 구급차를 요청합니다. 사고차량 내에 머무르지 말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이는 특히 고속도로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도로 가장자리나 방호벽 뒤로 이동하여 다른 차량과의 충돌을 피합니다.
사고 현장이 안전해진 후, 사고 상황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사고의 원인을 먼저 확인합니다. 사고 원인을 명확이 알고 있으면, 보험 신청 시 유리한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고의 날짜, 시간, 장소, 차량 정보 등을 기록하고 사고로 인한 상처와 손해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의료 기관에 방문할 수 있게 알아둡니다.
보험사 신청
사고 상황을 확인 후에 보험사에 신청합니다. 보험사에 사고상황을 신고하면 보험사에서 필요한 서류를 알려주고 사고 현장을 점검합니다. 이때 보험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합니다. 이때 사고를 경찰에 신고하고, 사고 경위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합니다. 현장에서는 상대측이 잘못을 인정해도 시간이 지나고 아니라고 오리발을 내미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후에 소송을 대비해서라도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상대가 자신의 과실을 100% 인정한 경우라도 거부권을 행사하게 되면 교통사고사실확인원이 소송과정에서 필요하기 때문에 미리 준비해서 cctv와 블랙박스, 사고상황 현장사진을 미리미리 확보해 두도록 합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변호사에게 법적 조언을 구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또한 상대측이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증거확보를 위해 사고 현장과 차량 손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으로 기록합니다. 또한 사고를 목격한 사람이 있다면 연락처를 확보하고, 경찰이 도착할 때까지 증언을 부탁합니다. 경찰이 도착하면 사고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경찰의 지시에 따라 사고 현장을 정리하고, 필요시 사고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사고는 안나는 게 제일 좋지만 오늘 확인한 방법을 숙지해 둔다면 당황하지 않고 처리하실 수 있을 겁니다. 안전운전을 통해 행복한 드라이빙 하시길 기원합니다.
'소소한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M(High Bandwidth Memory) 도대체 무엇이길래 이렇게 자주 기사에 나올까? (0) | 2024.11.15 |
---|---|
소버린AI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11.14 |
2025년 수능 수험생 할인 정보! 모아보기! (0) | 2024.11.13 |
백일해와 예방접종 (0) | 2024.11.12 |
퇴사가 고민된다면 한번 쯤 생각해 볼만한 것들 (0) | 2024.11.10 |